국내 의료기관에서 처방되는 일명 '키 크는 약'과 '키 크는 주사'에 대한 효능 및 효과가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. <br /> <br />2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, 국민건강보험공단,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의료기관에서 처방되고 있는 일명 '키 크는 약', '키 크는 주사'로 불리는 성장호르몬 바이오의약품은 총 24개다. 그러나 24개 바이오의약품은 터너증후군 등 성장호르몬이 부족한 환자를 대상으로만 임상시험을 진행했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시험은 없었다. <br /> <br />김 의원은 그런데도 국내 대학병원, 일반병원, 성장클리닉 등에서 해당 약품과 주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처방되고 있다며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밝혔다. <br /> <br />2021년부터 23년 9월까지 국내에서 저신장증 관련 환자는 3년 누적 약 7만 8,218명이다. 이들 대부분 건강보험 급여혜택을 받을 수 있는 터너증후군, 뇌하수체기능저하(소아성장호르몬결핍증, 성인성장호르몬결핍증), 주로단신과관련된선천기형증후군(프라더윌리증후군, 누난증후군)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다. 이들 중 약 3만 2,698명(41.8%)이 성장호르몬 바이오의약품(키 키는 주사)을 30만 7,000개를 급여 처방받았다. <br /> <br />그러나 같은 기간 전국 5,761개 의료기관에 공급된 해당 성장호르몬 의약품은 약 1,066만 개인 것으로 확인됐다. 건강보험 급여혜택을 받고 처방된 30만 7,000개를 제외한 1,035만 개(97%)는 저신장증이나 기타 관련 질병이 없는 일반 소아 및 청소년들의 키 성장을 위해 비급여 처방된 것이다. <br /> <br />김 의원은 이렇게 시중에서 처방되고 있는 성장과 관련된 바이오의약품 모두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효능, 효과가 확인된 바 없는데도 마치 키 성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의료기관들에서 오남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. <br /> <br />이어 "일반인에게 임상시험조차 한 적 없는 성장호르몬 바이오의약품이 마치 성장하는 일반 소아나 청소년들에게 효과가 있다고 광고 및 처방하고 있는 병원들의 문제가 심각하다"며 "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의약품의 초기 허가 목적과 다르게 오남용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관리, 감독에 나서야 한다"고 말했다. <br /> <br />제작 : 정의진 <br />AI앵커 : Y-GO <br /><br /><br />YTN 정윤주 (younju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102514593713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